본문 바로가기

전기공학21

전하(electric charge)란 무엇인가? 전기공학에서 전하란 무엇일까? 전기의 역사에 전기 발견의 시작은 전하의 발견으로 부터 시작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계셨나요? 때문에 전기공학에서 전하는 전기를 배우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배우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전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하 우선 전하에 대해 알기 위해선 원자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원자란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인데요, 이 원자는 핵과 그 주위에 분포된 전자들로 구성됩니다. 여기서 원자의 핵과 전자들이 전기적인 성질을 띄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전하입니다. 전하는 흔히 물질의 기본적 성질로 양성, 음성, 중성 으로 나뉘어집니다. 전하에서 놀라운 점은 (+)전하의 양과 (-)전하의 양이 놀라울 정도로 거의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 2023. 2. 6.
벡터 해석에 대하여(2) 지난 포스팅에서 벡터 해석의 발전과 벡터 해석의 기본 연산-벡터 덧셈, 스칼라 곱셈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벡터 해석 기본연산의 2장인 점곱, 가위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벡터 해석의 기본연산 점곱 두 벡터의 점곱(dot product)을 계산하게되면 스칼라가 됩니다. 때문에 점곱의 또 다른 이름이 스칼라곱이라고도 불리웁니다. 두 벡터의 점곱은 다음 식으로 정의됩니다. A∙B=ABcosθAB (0≤θAB ≤π) 여기서 A=lAl , B=lBl 이고, θAB는 A와 B의 사잇각입니다. 점곱은 A에 B의 A 방향성분(B의 A 위로의 정사영)인 BcosθAB를 곱한 것입니다. B에 A의 B 방향성분 (A의 B 위로의 정사영)인 AcosθAB를 곱해도 마찬가지입니다. θAB>π/2이면 정.. 2023. 2. 5.
벡터 해석에 대하여 벡터 해석은 전기공학에서 전자기학을 학습하고 전개,응용하는데 필수적인 것입니다. 전기공학에서 전기장, 자기장 등의 힘들은 크기 뿐만아니라 방향성을 가지게 되는데요, 이를 벡터량이라합니다. 이 벡터량을 정확히 해석하는 것이 벡터해석인데요, 벡터량의 연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 벡터 해석의 발전과 벡터해석시 벡터의 기본연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벡터의 기본 연산 벡터 해석에 앞서 방향성이 없이 크기로만 규정된 양을 스칼라라 합니다. 따라서 전기공학에서 배우는 전하, 전압 등의 것은 모두 스칼라라 할 수 있습니다. 스칼라는 기호로 V 와 같이 기울어진 이탤릭체로 쓰입니다. 반면 크기와 함께 방향도 갖는 양을 벡터라 합니다. 속도, 전기장 등을 벡터라 합니다. 벡터의 표시는 기본적으.. 2023. 2. 4.
전화기의 역사와 우리나라 전화기술의 시작 전화기는 오늘날 통신수단에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통신은 전기공학에서도 배우게되는 한 분야인데요. 오늘은 이 전화기의 역사와 우리나라 전화기술의 시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화기의 발명 전화기는 잘 알려졌다시피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도 통신수단은 있었는데요, 이전까지는 한 번에 한개의 메세지를 보낼 수 있는 전신기가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한 번에 보내는 글자의 한계를 느끼고 목소리를 통신할 방법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는 중이었습니다. 이당시 벨의 집안은 농아를 돕는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농아에게 발성하는 방법을 가르치면서 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늘 고민하던 과정에서 발명된 것이 바로 전화기입니다. 180.. 2023. 2. 3.